네트워크 9

9장 | 무선 랜 이해하기

무선 랜 이해하기 LESSON 35 - 무선 랜의 구조 무선 랜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와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등)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주는 중계 장치이다.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chip)과 무선 랜 어댑터(adapter)가 필요하다. 무선 랜 어댑터(adapter)에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가드 방식 어댑터가 있다. 무선 공유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처(i..

8장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LESSON 32 -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네트워크의 구성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웹에 접속할 경우 OSI 모델의 상위 계층부터 캡슐화가 이루어진다.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는 HTTP를 사용한다. 웹 서버에 있는 html 파일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GET/index.html HTTP/1.1과 같은 HTTP 메시지를 보낸다. 전송 계층에서는 TCP 헤더가 추가되며 이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헤더가 추가되며 이를 IP 패킷이라고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FCS)가 추가되며 이를 이더넷 프레임이라고 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LESSON 33 - 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7장 |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8 - 응용 계층의 역할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OSI 모델의 최상위 계층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응용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다룬다. 시스템 간의 응용 처리는 상호 간에 통신하면서 일련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이메일,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다.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하다. 5계층의 세션 계층과 6계층의 표현 계층이 포함한다. 응용계층의 역할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동..

6장 |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3 - 전송 계층의 역할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신경 쓰지 않도록 한다.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고 오류 없이 순서에 맞게 전송되도록 관리한다.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어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이 있다. 연결형 (connection-oriented) 통신과 비연결형 (connectionless) 통신 전송 계층의 특징 신뢰성..

5장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LESSON 17 -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을 담당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라우터 (router)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 주는 기능을 한다.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주소가 필요하다. IP 주소로 목적지를 지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어떤 경로로 ..

4장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12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네트워크 기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 주소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이더넷 (Ethernet)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로 전 세계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즉,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이다.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한다.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추는 구조로 되어있..

3장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LESSON 9 -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을 한다. 전기 신호 (electronic signal) 전기 신호는 전압이 일정 패턴으로 변하여 생기는 일련의 흐름으로 전압의 변화가 모여서 만들어진 신호다. 이런 전기 신호들을 주고받음으로써 네트워크에서 사진이나 문서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0과 1만으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아날로그 신..

2장 |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LESSON 6 - 네트워크의 규칙 프로토콜(porocol) 컴퓨터 간의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표준이다. LESSON 7 - OSI 모델과 TCP/IP 모델 OSI 모델 규격 -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제정한 기준을 말하는데 보통은 기술적 표준을 의미한다. 표준 규격을 정하는 단체를 여러 곳이 존재하는데, OSI 모델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가 만든 표준 규격이다. OSI 모델(Open Standards Interconnection model) 국제표준화기구(ISO)가 1977년에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일곱 개 계층으로 나눠서 표준화한 통..

1장 | 네트워크 첫 걸음

네트워크 첫 걸음 LESSON 1 -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network) : 컴퓨터를 두 대 이상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네트워크는 컴퓨터 간의 연결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한 것은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한다. 컴퓨터 간의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컴퓨터 간의 데이터(파일)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인터넷(internet)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전 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든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패킷(packet)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규칙이 있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