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첫 걸음
LESSON 1 -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 네트워크(network) : 컴퓨터를 두 대 이상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 네트워크는 컴퓨터 간의 연결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한 것은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한다.
- 컴퓨터 간의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 컴퓨터 간의 데이터(파일)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 인터넷(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 전 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든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패킷(packet)
-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규칙이 있어야 하는데 그 규칙에는 패킷(packet)을 사용한다.
- 패킷(packet)
-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사용되는 작게 분할된 데이터 조각으로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이다.
-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점유해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는다.
- 대역폭(bandwidth)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말한다.
- 패킷을 나눠서 보내면 목적지에서는 원래대로 되돌리는 작업을 해야한다.
- 이때, 전송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기 때문에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패킷을 보낼 때는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낸다.
LESSON 2 -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비트와 바이트
-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 모든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루는데,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
- 비트(bit)
-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말한다.
- 바이트(byte)
- 0 또는 1인 숫자 8개를 모아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단위를 말한다.
- 8비트를 1바이트라고 한다.
- 문자 코드(character code)
-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ASCII(아스키) 코드가 있다.
-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 -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 코드이다.
-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ASCII(아스키) 코드가 있다.
LESSON 3 - 랜과 왠
랜(LAN)과 왠(WAN)
- 랜(LAN, Local Area Network)
-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 왠(WAN, Wide Area Network)
- 랜을 다시 하나로 묶는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 특정도시, 국가, 대륙과 같이 매우 넓은 범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 넓은 지역에 설치된 컴퓨터들 간의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다.
- 일반 사용자, 기업체, 기관, 단체 등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자이다.
- 인터넷 상용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는 KT, U+, SK 브로드밴드와 같은 사업자를 말한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랜 (LAN) vs 왠 (WAN)
랜 (LAN) | 왠 (WAN) | |
범위 | 좁다 (건물이나 특정 지역) | 넓다 (랜과 랜을 연결) |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오류 | 적다 | 많다. |
- 서버(server)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이다.
- 클라이언트(client)
- 서버에서 보내 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는 측, 또는 요구하는 측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이다.
LESSON 4 -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해야 한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 공유기라는 장비가 필요하다.
- 인터넷 공유기(broadband router)
- 가정이나 소규모 기업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 쓰인다.
- 최근에는 라우터의 기능뿐만 아니라 허브, 스위칭 허브, 방화벽과 같은 다양한 기능도 제공한다.
- 연결방식
- 유선 랜 - 랜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
- 무선 랜 - 랜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LESSON 5 -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소규모 회사(소호 기업)
- 소호 기업
- 소호(SOHO)는 Small Office/Home Office의 약어이며 소호 기업은 소규모 회사를 뜻한다.
-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다른 점은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는 점이다.
- DMZ (DeMilitarized Zone)
- 외부에 서버를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 여기서 서버란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말한다.
-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기 위해 웹 서버(외부망 용도)를 외부에 공개한다.
- 외부 사용자가 메일 주고 받기 위해 메일 서버(외부/내부망 용도)를 외부에 공개한다.
-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 DNS 서버(외부망 용도)를 외부에 공개한다.
- 소호 기업
회사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
- 서버를 사내에 설치
- 회사 내에 서버 장비실을 두고 그 곳에 랙(선반)을 설치한다.
- 랙 안에는 랙에 설치하기 적합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서버와 라우터와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 라우터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데이터 센터
-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 시설이다.
- 클라우드(cloud)
-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
-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on-premise)라고 한다.
-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 랜에 접속한다.
'네트워크 > 책 <모두의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01.17 |
---|---|
5장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0) | 2023.01.13 |
4장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1) | 2023.01.12 |
3장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1) | 2023.01.11 |
2장 |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