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4

Could not load requested class : org.hibernate.dialect.MySQL5InnoDBDialect

Could not load requested class : org.hibernate.dialect.MySQL5InnoDBDialect spring boot 와 hibernate 를 연결하던 도중 위 에러가 지속해서 나타났다. 우선 이 문제는 클래스를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는 주로 Hibernate 설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 문제의 경우에는 3가지를 체크해야 한다. 1. 의존성 확인 2. Hibernate 설정 확인 3. 버전 호환성 확인 3가지를 모두 체크 해 봤을 때 모두 잘 설정 돼 있었다 (아주 착각이었다) 그리고 한 문장을 발견했고 그건 " MySQL5InnoDBDialect 대신 적절한 Dialect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MySQL 8.x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MySQL8..

Spring/error 2023.11.30

프로젝트 생성 &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 본 내용은 김영한의 강의를 수강하고 작성하였습니다. 스프링 부프 생성스프링 부트 스타터( https://start.spring.io/ )를 통해서 간편하게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기본 설정은 아래와 같다.Gradle-Groovy와 Gradle-Kotln 중에 고민했는데, 아직 보편적으로는 전자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Gradle-Groovy로 선택  H2 는 간단하게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할 때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 상태에 내장에서 실행 할 수 있어 간단하다.     파일을 열고, JpashopApplication 를 실행하는데 만난 에러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위 에러의 해결 방법은 아래 게시글..

[Organization Fork] organization의 내 작업은 내 repository 에서 !

**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Organization Fork side project 로 organization 에서 작업한 내 노력을 개인 github 에서도 볼 수 있을까? 좋은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내가 선택한 건 "fork" 이용 organization - repository 로 들어간다. 오른쪽 보면 Fork 버튼을 누르면 저렇게 "create a new fork" 로 새로운 fork 를 생성한다. 나는 이미 생성했기 때문에, 내 github 에 있는 repo 가 표시된다. 내 github 에서 보일 Repository name 을 작성 ! 그리고 fork 해서 새로 만든 repo를 로컬 clone 하기 위해, 포크된 리포지토리로 이동하여 "Code" 버튼을 클..

Git/github 2023.11.21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git pull 또는 git merge를 수행할 때 발생하며, 이는 로컬 브랜치와 리모트 브랜치가 서로 관련이 없는 역사(즉, 공통의 조상이 없는)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오류는 주로 새로운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고 초기 커밋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 리포지토리와 병합하려 할 때 발생한다. 내가 이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github에 repository를 생성하고, intellij로 프로젝트를 생성. 이 프로젝트를 github에 있는 repository에 commit 하려고 하는 데, 계속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remote 에 있는 내용을 pull 받지 않은 상태에서 commit 하려다 보니 발생한 것으로 판단..

Git/error 2023.11.19

9장 | 무선 랜 이해하기

무선 랜 이해하기 LESSON 35 - 무선 랜의 구조 무선 랜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와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등)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주는 중계 장치이다.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chip)과 무선 랜 어댑터(adapter)가 필요하다. 무선 랜 어댑터(adapter)에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가드 방식 어댑터가 있다. 무선 공유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처(i..

8장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LESSON 32 -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네트워크의 구성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웹에 접속할 경우 OSI 모델의 상위 계층부터 캡슐화가 이루어진다.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는 HTTP를 사용한다. 웹 서버에 있는 html 파일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GET/index.html HTTP/1.1과 같은 HTTP 메시지를 보낸다. 전송 계층에서는 TCP 헤더가 추가되며 이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헤더가 추가되며 이를 IP 패킷이라고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FCS)가 추가되며 이를 이더넷 프레임이라고 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LESSON 33 - 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7장 |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8 - 응용 계층의 역할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OSI 모델의 최상위 계층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응용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다룬다. 시스템 간의 응용 처리는 상호 간에 통신하면서 일련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이메일,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다.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하다. 5계층의 세션 계층과 6계층의 표현 계층이 포함한다. 응용계층의 역할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사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동..

6장 |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3 - 전송 계층의 역할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신경 쓰지 않도록 한다.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고 오류 없이 순서에 맞게 전송되도록 관리한다.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어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이 있다. 연결형 (connection-oriented) 통신과 비연결형 (connectionless) 통신 전송 계층의 특징 신뢰성..

5장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LESSON 17 -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을 담당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라우터 (router)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 주는 기능을 한다.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주소가 필요하다. IP 주소로 목적지를 지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어떤 경로로 ..

4장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12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네트워크 기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 주소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이더넷 (Ethernet)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로 전 세계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즉,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이다.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한다.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추는 구조로 되어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