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책 <모두의 네트워크>

9장 | 무선 랜 이해하기

제주니어 2023. 1. 20. 18:21

무선 랜 이해하기

LESSON 35 - 무선 랜의 구조

무선 랜
  •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이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등)로 구성된다.
    •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주는 중계 장치이다.
  •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chip)무선 랜 어댑터(adapter)가 필요하다.
  • 무선 랜 어댑터(adapter)에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가드 방식 어댑터가 있다.
  • 무선 공유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과 애드혹(Ad Hoc) 방식
  • 무선 랜을 연결하는 방식에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과 애드혹(Ad Hoc) 방식이 있다.
  •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이다.
    •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한다.

  • 애드혹(Ad Hoc)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다.

무선 랜 규격
  • 무선 랜은 IEEE802.11 규격을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 IEEE802.11은 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인 IEEE에서 승인한 무선 랜의 표준화 기술을 뜻한다.

  • 11b, 11g, 11a3는 예전 규격이고 현재는 11n 또는 11ac를 주로 사용한다.
  •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 등)도 이러한 규격을 지원해야 사용할 수 있다.

  • 무선 랜을 구성하는 장비 중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AP라고 부르기도 한다.

LESSON 36 - SSID의 구조

SSID (Service Set IDentifier, 서비스 세트 식별자)
  •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각 헤더에 붙은 고유 식별자로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랜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려면 혼선을 피하기 위해 SSID(Service Set IDentifier)라는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이름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를 설정해야 한다.
    • 설정을 해야 무선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찾아서 통신할 수 있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비컨(beacon)을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무선 클라이언트는 이 신호를 잡아서 연결한다.
    • 비컨(beacon)
      • 자기를 알리는 신호
  • 신호를 받은 무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SSID와 같은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문의하고 같은 SSID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응답을 하며 존재를 확인한다.
  • 설정된 인증 방식이 올바른지 확인되면 무선 클라이언트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을 요청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승인을 받아 연결해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채널 (channel)
  • 무선 통신에서 하나의 통화 신호나 기타 정보가 전송되는 분리된 전송로를 뜻하며 통신 채널이라고도 한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전파가 약해져 접속이 잘 안되거나 통신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 그러므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여러 대 설치해야 한다.

  • 무선 랜은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데, 그 주파수 대역채널이라고 한다.
  • 무선 공유기 A와 컴퓨터 ①과 ②는 모두 같은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 또한, 무선 공유기 A와 무선 공유기 B는 다른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 전파가 겹치는 무선 공유기들이 같은 채널로 설정되어 있으면 주파수가 서로 겹치면서 전파 간섭이 생기고 통신 속도가 느려진다.

  • 같은 채널을 사용하되 전파가 겹치지 않도록 거리를 떨어트려 설치해야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 전파 간섭(interference)
      • 같은 주파수의 파동이 합성되거나 상쇄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 무선 랜과 무선 랜 또는 무선 랜과 다른 기기 사이의 전파 간섭 때문에 통신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 채널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설정해 최적의 채널을 찾아 준다.
  •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통신 속도가 느려지면 채널을 수동으로 변경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무선 공유기의 설정은 웹 브라우저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