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상수
1. 변수(variable)란
-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 컴퓨터 메모리(RAM)에 값을 저장하기 위해 할당받는 공간을 변수라고 한다.
- 프로그램에 의해서 할당받은 공간의 값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고 부른다.
- 프로그램 실행 시 사용할 값(Data)이 있다면 그 값은 먼저 메모리에 기록되어야 하기 때문에 변수부터 만들어야 한다.
- 변수의 장점
- 가독성이 좋다.
- 재사용성이 증가한다.
- 코드량이 감소하고 유지 보수가 편해진다.
2.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1) 변수의 선언
-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 변수타입 변수이름;
- 변수타입 :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type인지 지정하는 것
- 변수이름 : 메모리 공간의 이름
- 변수를 선언하면 실제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할당한다.
2) 변수의 초기화
- 변수를 선언한 후 반드시 초기화(initialization)해야 한다.
- “변수의 초기화란,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대입 연산자 ‘=’를 이용하며, 오른쪽의 값이 왼쪽(변수)에 저장하라는 뜻.
// 선언 후 초기화
int age
age = 100;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int age = 100;
3) 변수의 명명규칙
-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 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class, int, new, null 등 해당, true는 예약어라 안되고 True는 가능하다.)
-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 특수문자는 ‘_(언더바)’와 ‘$’만을 허용한다.
- 여러 단어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단, 첫 시작 글자는 소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다.)
- 의미 있는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 좋다.
- 그 외 권장하는 규칙
-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한다. (변수와 메서드의 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소문자)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는 ‘_(언더바)’로 구분한다.
// 변수의 명명 규칙
// 1) 대소문자 구분
int number;
// String number; // 자료형이 달라도 변수명이 같으면 에러 발생
int NUMBER;
int NumBer;
// 2)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 int 1age;
int a2g3e1;
// 3) 특수 문자는 '_', '$'만 사용이 가능하다.
int _age;
int ag_e_;
int $age;
int a$ge$;
// int %age;
// int age@
// 4) 예약어를 사용하면 안 된다.
// int void;
// int double;
// int class;
// int public;
-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는 ‘_(언더바)’로 구분한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Operator) - 연산자(operator) & 단항 연산자 (0) | 2022.08.17 |
---|---|
변수(Variable) - 형변환 (0) | 2022.08.16 |
변수(Variable) - 변수의 타입 : printf() & Scanner (0) | 2022.08.16 |
변수(Variable) - 변수의 타입 : 기본형 & 상수와 리터럴 (0) | 2022.08.15 |
프로그래밍 기초 & 자바(JAVA) (0) | 2022.08.14 |